한미 수교 이후 129년 만에 처음으로 한국계 주한미대사가 탄생했다.?첫번째 한국계 주한대사라는 이유로 한국에서도 미국에서도 커다란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. 이번에 주한미대사로 인준된 성 김은 중학교때 미국으로 온 1.5세이다.?그 성 김이 나를 두번이나 놀라게 했다.
나 는 성 김을 2006년1월 한국 국회 초청으로 레인 에반스 미 연방 하원 의원과 함께 한국을 공식 방문했을 때 처음 보았다. 그때 나는 에반스의원의 법률 고문 자격으로 함께 동행했는데 미 대사관을 방문하여 브리핑을 받았었다. 미국 하원의원 앞에서 브리핑을 하는 사람이 당연히 미국 외교관일 줄 알고 있었는데 갑자기 한국계 외교관이 나와서 발표를 하는 것이 아닌가. 당연하다고 생각되었던 내 생각에 파장을 준 사람이었다. 그 사람이 바로 성 김이였으며 그는 미 국무부 사상 처음으로 한국과장에 임명이 되어 한국에 나와 있었던 것이다.
그렇게 첫번째 놀랐었는데 두번째로 오바마 행정부의 추천으로 상원인준을 거쳐 한국계 첫 대사 기록으로 나를 놀라게 하였다. 이렇게 한국계 주한대사가 탄생한 것도 세계 제 12위 경제대국인 한국의 정치적 역량과 입지를 나타내는 것 같았다. 그러나 중국계 주중미대사의 인준은 빨랐던 반면, 이번 성 김의 상원인준은 4개월간 끌고간 ‘지각인준’이였다.
오바마정부의 대북정책에 불만을 품고 있던 대북 강경파인 공화당의 존 카일(애리조나) 상원의원의 인준보류(Hold) 요구로 인준이 보류되었다. 나는 미주총연회장에게 연락하여 미주한인교포를 대표하여 성 김의 인준을 하루속히 진행해 달라는 독촉공문을 존 카일 상원의원에게 보내주면 좋겠다고하고 독촉공문을 써주었고 그것을 존 카일의원에게 지난 달 보냈다.
그 러나 다행스럽게 이명박 대통령의 미국 국빈방문 중 상?하원 연설 직전에 인준안이 극적으로 통과되었다. 분단된 조국을 가진 우리의 입장과 분단된 나라를 바라보는 입장의 차이는 반드시 있을 것이다. 그러나, 미주동포의 미국내에서의 정치적 역량은 우리의 단합된 힘과 글로벌적인 정치적 사고에서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한다.
한국계 성 김이 주한미대사로 가는 것에 대해 많은 한국인들은 흥분하고 기대에 차 있다.?무엇보다도, 1세가 아닌 1.5세가 정치적 기반과 능력을 인정 받았다는 것은 큰 성과가 아닐 수 없다. 우리의 1.5세에게 도전과 희망을 주는 아주 귀중한 역활을 해낸 것이다.
그러나 우리는 좋아하고 박수를 쳐주는 뒷면에, 그의 직책을 이해하고 인정하는 것 또한 잊어서는 안된다. 그가 한국으로가 임무를 수행 할 때 모든 것을 한국의 국익만을 위해 일한다면 다시는 제 2의 성 김이 나오지 않을 것이다.
미국법과 한국법이 그리고 미국 이익과 한국 이익이 충돌할때, 그는 미국의 이익을 대변하는 주한대사라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. 그가 미국편을 들면 혹시나 기대했던 사람들에게 실망을 안겨주고 증오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.
우리는 그의 신분이나 직책을 충분이 존중하고 이해하며 한국이 필요한 것이 있을 때는, 논리 정연하게 우리가 원하는 이유와 명분을 주어야 한다.
한국계이기 때문에 한국에게 유리하게 할 것이란 기대는 성숙치 않은 기대이다.?성 김이 한국에 나가 주한미대사로서 일을 잘하여 이민자의 나라에서 본토로 돌아가 일을 잘 처리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또한 성숙한 자세일 것이다.
앞으로제 2, 제 3의 성 김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해 본다.